수출기업, 달러 강세로 ‘득’보다 ‘실’
원자잿값 상승 채산성 ‘압박’
수출 물량보다 금액 더 늘어
강달러 현상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이같은 현상이 국내 수출기업에게는 ‘득’보다 ‘실’이 될 가능성이 높아 우려된다.
외환시장에 의하면 원·달러 환율은 지난달 28일 1272.5원에 거래를 마쳤다. 원·달러 환율이 달러당 1270원대로 올라선 것은 코로나19로 금융시장이 단기간 충격에 빠졌던 지난 2020년 3월 19일(1285.7원) 이후 2년 1개월 만이다. 전문가들은 지금 속도와 추세대로라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원·달러 환율이 1300원을 넘어설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원화약세의 요인을 살펴보면 글로벌 물가 상승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연일 강력한 긴축 신호를 내보내고 있다. 또한 러시아-우크라이나간 전쟁이 장기화되며 세계 경제에 악영향이 예상되는 것도 원화 약세를 부추기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우리나라의 최대 무역대상국인 중국이 상하이는 물론 수도 베이징 일부 지역까지 봉쇄 조치를 확대하면서 경기 둔화 우려가 커진 게 원화 약세 압력을 가중하고 있다.
국내 수출기업들은 업종별로 차이가 있으나 원화약세(달러화 강세)가 수출증대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국내 산업구조와 무역 대상국으로의 수출비중이 변화하면서 원·달러 환율 상승은 오히려 수출기업의 채산성 악화를 부추기는 것으로도 분석되고 있다.
업종별로 보면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 업계는 수출 비중이 높아 환율 상승이 수출경쟁력에 우호적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고유가 상황과 수출 차종 중 친환경차(전기·수소차) 비중 확대 등을 고려하면 전체 수출물량은 줄고 친환경차 부문 수익성이 개선되는 흐름이 지속될 전망이다.
석유화학 업종은 수출단가 상승이 나타나고 있으나 최근 중국의 경기둔화는 향후 수출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 반도체업계는 상대적으로 환율 변동에 덜 민감한 편이고, 최근 반도체 호황이 지속되고 있어 수출물량이 지속 증가하는 등 원화약세의 최대 수혜 업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원재료 수입이 많은 철강업은 환율이 오르면 원가부담이 높아진다. 그런데 수출은 국제무역장벽 확산에 증대에 한계가 있고, 제품 가격에 원가부담을 온전히 반영하기도 어려운 것이 문제다.
다만 환율이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과거보단 감소하는 양상이다. 그런데 원화가격이 하락하면 수출 경쟁력은 높아지지만 원가부담이 늘어 기업의 채산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원화값이 급락하면 설비투자비용 부담이 늘며 생산마저 위축될 가능성이 커 장기적인 달러화 강세는 우리수출 기업에게도 부담이다.
이같은 교역여건 악화는 지표로도 확인된다. 최근 한국은행 발표한 3월 ‘2022년 3월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 통계에 의하면 3월 수출금액지수(153.28)와 수출물량지수(133.26)는 1년 전보다 각각 20.9%, 5.6% 오르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런데 수출 금액 상승폭이 수출 물량 상승폭을 크게 앞지르고 있다. 그리고 3월 수입금액지수는 178.16으로, 1년 전보다 무려 28.3%가 올랐다. 수입물량지수도 135.23으로 작년 3월보다 5.1% 올랐다.
/2022년 5월 13일 동아경제 성창희 기자